본문 바로가기
음향학

홈 레코딩 녹음에 앞서 어쿠스틱기타 바로 알기 1

by 라봉뮤직 2024. 3. 7.

어쿠스틱 기타
어쿠스틱 기타

홈 레코딩 어쿠스틱 기타의 특성을 먼저 알자

작은 오케스트라와 같은 악기가 바로 기타이다. 휴대하기도 쉬워 어디든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소리도 적당히 크다. 음량이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아 라이브는 물론이고 녹음, 특히 홈 레코딩에도 참 잘 어울리는 악기다. 기타는 가히 피아노와 견줄 만한 악기다.

 

한 손가락은 지판에 두고, 다른 손가락으로 기타 줄을 직접 뜯어 소리를 만들기 때문에 왠지 기타 소리에는 연주자의 감정이 더 많이 묻어나는 듯하다. 기타는 음색의 변화와 강약 조절이 순전히 연주자에게 달려 있다. 연주의 디테일과 연주자의 미세한 뉘앙스가 연주에 묻어난다는 이야기다. 당연한 말이지만 좋은 연주자와 기타만 있다면 부러울 것이 없을 것이다.

 

어쿠스틱기타는 기타 제조사, 크기와 모양, 사용 목재, 기타 줄, 너트, 브리지, 프렛 fret 등 고려해야 할 변수가 너무나 많은 악기다. 따라서 단순히 모양만 보고 구매했다가 후회할 수도 있다. 전문 기타 연주자를 꿈꾸고 있다면 모든 사항을 잘 고려해 구매할 필요가 있다.

 

내 기타가 어떤 목재로 만들어졌고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를 알고 나면 자기 기타의 음색에 어떤 비밀이 있는지 알게 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어쿠스틱기타에서 소리가 나는 원리

손으로 줄을 진동하면 줄의 진동이 새들 saddle을 통해 브리지로 전달되고, 브리지로 전달된 진동은 상판, 사운드보드 Sound Board를 울린다. 상판의 울림은 기타 통에서 공명하며 증폭된다.

 

어쿠스틱기타는 줄과 연결된 모든 부분이 악기 음색에 영향을 미친다. 구성 요소 하나하나가 음색과 연관이 있어서 사실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끝도 없다. 

 

기타 보디의 허리를 기준으로 지판 쪽 보디인 위쪽 바우트 Upper Bout는 고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아래쪽 바우트 Lower Bout는 저음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기타 구멍인 사운드 홀 Sound Hole은 소리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좀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자면 기타의 공명 중 과도하게 발생하는 중 저역의 소리를 내보낸다. 사운드 홀에서 나는 소리는 중 저역대가 과도하게 많기 때문에 마이크를 설치하기 좋은 위치가 아니다.

 

크기에 따른 어쿠스틱기타의 분류

어쿠스틱기타는 여행용 기타에서부터 점보 사이즈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다. 악기를 선택할 때 좋은 음색이 최우선이기는 하지만, 연주하기 편한지 확인하는 것 또한 아주 중요하다. 굳이 이야기하자만 좋은 음색을 지닌 기타 중에서 연주하기 편한 기타를 찾는 것보다, 연주하기 편안한 기타 중에서 좋은 음색을 지닌 기타를 고르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연주자의 신체 크기를 고려해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기타를 고르도록 하자.

 

기타는 일반적으로 클수록 음량이 크고 저음과 고음이 풍성하며, 작을수록 음량이 작아지고 음색도 저음보다는 중음대와 고음대가 부각된다.

 

자신의 기타가 어떤 음색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녹음할 곡의 장르가 무엇인지, 어떤 연주법을 사용할 것인지 등을 파악해야 한다. 그런 후에 기타의 어느 부분에 마이크를 배치해서 원하는 음색을 녹음할지 결정할 수 있다.

모양에 따른 어쿠스틱기타의 분류

●드레드넛 보디

가장 잘 알려진 모양의 기타이며 아주 다양한 음악 장르에 사용된다. 영국 전함의 이름을 따서 만든 드레드넛 Dreadnought 보디는 CF Martin에서 출시했으며, 프렛이 약 열네 개 있다. 크기가 큰 편이라 덩치가 작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기타는 아니다. 음색은 일반적으로 저음이 풍성하며 음량은 크다. 핑거 스타일의 연주보다는 스트리밍 스타일의 연주에 좋고, 약한 터치를 사용하는 연주에서 좋은 소리를 내기를 어려운 편이다. 거의 모든 기타 제조사에서 만드는 기타이니, 이 기타를 구매하기로 결정했다면 여러 회사에서 만든 모델의 소리를 비교해 봐도 좋을 것이다.

 

●그랜드 오디토리움

테일러 Taylor사에서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기타인 그랜드 오디토리움 Grand Auditorium. 

 

이 기타는 드레드넛 보디와 비교해 넓이와 길이가 비슷하지만 허리는 더 좁다. 음량은 크지만 약한 터치에도 괜찮게 반응한다. 전 음역대의 균형이 좋으며 스트리밍, 피킹, 핑거 스타일에도 적합하다. 제조사마다 모양과 크기가 약간씩 다르다.

 

●오디토리움, 그랜드 퍼포먼스 그리고 OM

000 모델과 OM 모델은 보디 모양이 비슷하고 길이가 같다. 이 때문에 이름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두 모델 모두 보디가 모래시계 형태이며, 무릎 위에 올려놓고 연주하기에 좋고 핑거 스타일의 연주에 적합하다. 반면 스트리밍 스타일의 연주에 적합하지는 않다. 000 모델은 밝은 고음이 특징이며, OM 모델에 비해 줄이 짧아 줄의 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따라서 치기 수월하고 벤딩이 잘된다. OM 모델은 000 모델보다 넥의 폭과 프렛의 간격이 넓으며, 기타 줄의 길이도 더 길어서 줄의 장력도 높다. 이 덕분에 음이 또렷하게 전달되며, 저음과 고음의 균형도 좋다. 참고로 에픽 클랩튼이 사용한 기타는 000 모델, 존 메이어가 사용한 기타는 OM 모델이다.

 

●00 모델(Martin Size)과 그랜드 콘서트(Taylor Size), 0 모델과 콘서트 기타

스틸 기타 중 작은 크기이며, 나일론줄을 사용하면 부드러운 소리가 난다. 하지만 쇠줄을 사용하면 밝고 큰 소리가 나며, 쇠줄을 사용할 때 음의 강약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팔러

최근에 나온 베이비 기타를 제외하면 어쿠스틱기타 중 가장 작은 게 팔러 parlor다. 아주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기타로 음량은 작고 여음이 짧으며, 중음역대가 강조된 소리가 난다. 전통적인 음색을 추구하지만 개성 있는 소리를 원하는 연주자에게 좋다.

 

●클래식 기타

나일론줄을 사용하는 클래식 기타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음색을 지녔다. 하지만 연주하려면 아주 복잡하고 정교한 연주 기술이 필요하다. 나일론기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크로스 오버 클래식이나 보사노바 스타일의 곡에 주로 사용된다. 이런 스타일의 음악에 클래식 기타만의 특색 있는 음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