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향학

기타 앰프 시뮬레이션과 페달 보드 이펙터

by 라봉뮤직 2024. 4. 12.

 기타 녹음을 할 때 D.I 트랙, 즉 이펙트가 입혀져 있지 않은 소리를 따로 녹음하는 이유는 기타 앰프를 크게 틀고 녹음하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녹음 당시에 원하는 이펙터 혹은 앰프가 없었기 때문이다. 기타를 녹음하기에 마땅한 마이크가 없어서 일단 이펙터를 입히지 못한 기타 소리를 D.I로 녹음하고, 나중에 원하는 이펙터나 앰프 혹은 마이크를 사용해 원하는 소리를 만들기 위해서다. 이처럼 D.I로 녹음하는 작업의 장점은 믹싱 때 가상 이펙터나 앰프 시뮬레이터를 사용해 믹싱 현장에서 원하는 기타 소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기타 앰프
기타 앰프 시뮬레이션

D.I.Box로 녹음한 기타 트랙 믹싱하기

믹싱을 하다 보면 기타 톤을 바꿔야 할 때가 종종 있다. 단순한 음색 변화는 이퀄라이저로 충분하지만, 기타 앰프 소리나 이펙터 소리를 이퀄라이저로 만드는 일은 불가능하다. 단순한 음색 변화를 넘어서는 변화를 만들어내려면 이미 이펙터가 입혀져 있는 기타 트랙의 음색을 수정하거나, 이펙터가 입혀져 있지 않은 D.I로 녹음한 기타 소리를 곡과 어울리게 완전히 바꿔야 한다.

 

녹음한 트랙을 이용해 다시 앰프나 이펙터를 사용하려면 전압과 임피던스에 대해 알아야 한다. 녹음한 신호는 라인 레벨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신호를 다시 악기 레벨의 신호로 바꿔주어야 한다. 

 

이펙터 없이 바로 D.I로 녹음한 트랙을 믹싱 하는 경우라면 앰프 시뮬레이션 플러그인이나 페달 보드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기타 트랙의 음색을 만들어야 한다. 이런 경우, 기타 음색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기타 연주자나 기타 소리와 이펙터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프로듀서와 함께 음색을 수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아무런 계획 없이 시작했다가는 가상 앰프와 가상 페달을 골라 조합하는 데 엄청난 시간을 낭비할 것이다.

 

일렉기타의 음색은 사용하는 이펙터나 앰프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진다. 앰프에 따라 특징 있는 음색이 표현되고, 이펙터와 어떻게 조합하는지에 따라 더 다양한 음색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미 발매된 음반을 들으면서 다양한 기타 톤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기타 앰프 시뮬레이션 알아보기

앰프 시뮬레이션은 앰프 사운드를 구현한 프로그램이다. 기타 앰프에는 펜더 Fender, 마셜 Marshall, 오렌지 Orange, 메사 부기 Mesa Boogie 등 다양한 앰프가 있고, 앰프 시뮬레이터 역시 이런 앰프의 소리를 구현했다. 그러니 각 앰프의 음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용하다. 음악 장르에 따라 어떤 앰프를 주로 사용하는지 알아야 한다. 물론 연주자마다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니 특정 장르에 특정 앰프를 사용해야 한다는 법칙도 없다. 다음에 소개하는 앰프와 음악 장르는 참고용으로 보기 바란다.

● 장르에 잘 어울리는 앰프들

  1. 블루스 : Fender Deluxe Reverb, Fender Custom Twin Tweed, VOX AC30C2, Orange Crush Pro CR60C, Marshall Code 50W
  2. 재즈 : Fender Blues Jr, Fender Deluxe Reverb, Roland JC - 120 Jazz Chorus, Fender '68 Custom Twin Reverb, Fender '65 Princeton Reverb
  3. 록 : Marshall JCM800, Fender '65 Deluxe Reverb Combo, Mesa Boogie Dual Rectirier, Vox AC30, Marshall JVM - 410H
  4. 메탈 : Orange Dark Terror, Peavey, Randal 1003H, Mesa/Boogie Mark Five, Peavey Invective, 120 Marshall DSL20 C, Blackstar HT Metal 60
  5. 컨트리 : Vox AC30, Marshall JTM 45
  6. 펑크 : Orange Cruch Pro Series, Marshall HGFX, Blackstar HT Club, Marshall JCM800

● Logic Pro X 앰프 디자이너의 예

로직에 번들로 있는 앰프 디자이너에는 상당한 양의 앰프가 내장되어 있다. 각 프리셋마다 모델로 삼은 앰프와 캐비닛, 마이크가 각각 다르니 각 프리셋이 어떤 앰프로 모델을 구현했는지 확인한 후 믹싱 하는 장르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앰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지만, 각 프리셋을 믹싱 하는 장르에 적합하게 선택하는 사용 방식은 모두 같다. 그러니 약간 시간을 투자해서 각 프리셋을 파악해 두면 훨씬 멋진 기타 소리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앰프와 캐비닛, 마이크를 조합해 보자.

 

기타 페달보드 이펙터 플러그인 살펴보기

페달 보드는 일렉기타 소리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깨끗하고 청아한 기타 소리에서부터, 신나는 펑키 사운드나 전기톱이나 자동차 엔진 소리 같은 디스토션 계열의 소리를 만든다. 로직 같은 DAW에는 가상 페달 보드가 내장되어 있으며, 가상 페달 보드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회사도 다양하다.

● 가상 페달 보드의 예시

  1. Logic Pro X, Pedal board : 로직에 내장된 플러그인
  2. Waves, GTR Stomp : 웨이브사의 GTR Stomp 플러그인
  3. BIAS FX2 : 백 개가 넘는 이펙터 페달이 있다.

● 페달 보드의 일반적인 순서와 소리

앰프 시뮬레이터 프로그램과 함께 페달 보드 플러그인을 사용해 기타 소리를 만든다. 페달 보드 플러그인은 종류 역시 아주 다양하다. 간단하게 기타 트랙에 딜레이 이펙터만 추가해도 상당히 그럴듯한 기타 소리가 된다. 여기에 다른 이펙터를 더해 사용하면 믹싱 하는 사람이 원하는 소리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기본 순서나 각 이펙터의 특징을 파악하지 않고 작업을 시작했다가는 엄청난 좌절을 겪을 수도 있으니 각 이펙터의 특징과 일반적인 순서를 먼저 알아두는 것이 주용 하다.

  • 1. 필터 계열

와와 페달과 같이 다이내믹을 조절하는 필터 계열의 이펙터들을 가장 먼저 두는 이유는 만약 컴프레서나 드라이버 계열 뒤에 사용하면 컴프레서와 드라이버가 다이 내 맥 레인지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 2. 컴프레서

컴프레서는 기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압축해서 전반적으로 레벨을 올릴 때 사용하는 이펙터다. 그러므로 컴프레서 앞에 다른 이펙터를 설치했다면 노이즈를 비롯한 모든 소리를 같이 압축하고 증폭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가능한 한 기타의 출력에 가깝게 설치해야 한다.

  • 3. 드라이버 계열

오버드라이브나 디스토션과 같은 페달은 변조가 되지 않은 신호, 즉 기타 소리 자체를 드라이브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만든다. 만약 드라이버 계열 이펙터 앞에 변조된 소리나 공간계를 놓으면 변조된 소리나 공간계 소리까지 같이 드라이브되어 아주 지저분한 소리가 될 것이다.

  • 4. 모듈레이션 계열

phaser, flanger, chorus, vibrato와 같은 이펙터들은 일반적으로 드라이버 계열 다음에 위치한다. 이는 모듈레이션 이펙터가 이전의 소리를 좀 더 풍성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 5. 볼륨 페달

볼륨 페달을 모듈레이션 이펙터 앞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드라이버 계열의 이펙터 다음에 설치하는 이유는 볼륨 페달을 조절해서 소리를 작게 만들어도 계속 오버드라이버나 디스토션의 '믹서기에 갈리는 듯한' 소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계 이펙터 앞에 볼륨 페달을 설치하는 이유는 악기의 소리 크기에 따라 딜레이나 리버브의 소리도 같이 조절하기 위해서다.

  • 6. 공간계

일반적으로 공간계 이펙터는 가장 나중에 설치한다. 한 공간에서 악기의 연주하면 관객은 악기에서 나는 음을 먼저 듣고, 그 뒤에 이 음이 만든 공간의 울림을 듣게 된다. 이때 소리가 가장 자연스럽다. 만약 컴프레서나 드라이브 계열 이펙터 앞에 공간계 이펙터를 사용하면, 공간의 울림까지 같이 증폭되어 소리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작업에 적합한 앰프와 이펙터 찾기

 

D.I로 녹음한 기타 트랙의 소리를 믹싱할 때 앰프 시뮬레이터나 가상 페달 보드를 사용해 기타의 음색을 수정하는 일은 이제 새로운 작업이 아니다. 구하기 힘든 앰프의 소리까지 실감 나게 구현할 수 있고, 공간과 마이크의 제약에서도 자유롭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발전하면서 가상 앰프나 페달 보드 역시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홈 레코딩에서 앰프 시뮬레이터와 가상 페달 보드를 사용하는 일은 날이 갈수록 늘어날 것이고, 플러그인의 소리 역시 실제 모델이 내는 소리와 아주 흡사해질 것이다. 하지만 앰프 시뮬레이터와 가상 페달 보드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장르와 연주 스타일에 적합한 앰프를 선택하고, 잘 어울리는 이펙터를 가상 페달 보드로 설정해야 한다.

 

D.I 기타 트랙을 사용해 개별 이펙트의 효과와 특색을 익히고, 각 앰프를 테스트하면서 앰프의 소리를 파악해 보자. 한 번에 좋은 기타 소리를 만들려는 생각은 접어두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도를 해보자. 멋진 기타 소리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원하는 소리를 찾아보는 것이 앰프와 이펙터를 파악하는 데 엄청난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