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 홈 레코딩을 위한 녹음 레벨 세팅 잡음과 녹음 사이 방음 처리가 잘된 전문 녹음실에서도 소리 크기가 아주 작아 느껴지지 못할 뿐 노이즈가 있다. 녹음 음질에 악영향을 주는 잡음은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이다. 홈 레코딩의 경우,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녹음 음질에 영향을 미친다.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녹음하려면 소리의 크기와 노이즈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녹음 후에 진행하는 후반 작업, 즉 믹싱과 마스터링은 소리를 크게 만드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노이즈도 더 크게 들리는 것이다. 사람들은 음악과 음질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 좋은 음질은 좋은 연주를 감상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좋은 음질로 녹음하려면 녹음하고자 하는 악기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어떤 방법으로 녹음할지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2024. 3. 7. 홈 어쿠스틱 트리트 먼트 방에서 나는 울림을 점검하라 작은 직사각형 모양의 공간은 일반적으로 울림이 좋지 않은데, 정사각형 모양에서 발생되는 울림은 더욱 좋지 않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박수를 쳐보면 된다. 박수를 치면 소리가 울리는데 방에서 발생하는 고유한 울림이다. 박수를 치면서 방의 울림을 들으며 돌아다녀 보자. 그렇다 보면 어떤 위치에서 울림이 많고 적은지 알 수 있다. 아무래도 울림이 적은 곳이 녹음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가능하다면 책상이나 침대의 위치도 움직여 보면서 울림이 적은 곳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박수를 쳤는데 혹시 찡 하는 울림이 있다면, 양쪽 벽 혹은 한쪽 벽에 책장이나 바퀴 달린 행거 등을 배치해서 벽과 벽 사이에서 소리가 계속 반사되어 생긴 현상인 울림을 잡아줘야 한다. 일반적인 방은 천장이.. 2024. 3. 7. 홈 레코딩에 적합한 마이크 선택하는 법 홈 레코딩에 적합한 마이크란? 홈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쓰기에 적합한 마이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어떤 마이크가 홈 레코딩에 적합한지 알아보도록 하자. 마이크는 소리를 전기로 바꾸어 주는 역할, 즉 공기의 진동을 소리로 바꾸는 매우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진동이 완전히 다른 형태인 소리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소리가 좋게 아니면 나쁘게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이크의 작동 원리를 아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마이크의 종류에는 작동원리에 따라 콘덴서 마이크 Condenser Microphone와 다이내믹 마이크 Dyanmic Microphone로 나눌 수 있다. 콘덴서 마이크의 정체 콘덴서 마이크는 전기가 필요하다. 콘덴서 마이크의 구조를 보면 진동판과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 2024. 3. 7. 홈 레코딩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구축하기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역할 마이크나 악기를 컴퓨터와 연결을 해주는 것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역할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에서 출발한 신호를 증폭하여,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서 컴퓨터에 데이터로 저장합니다. 이 밖에도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스피커 또는 해드폰을 연결하거나 미디 장비를 연결해 미디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신호의 증폭과 변환 등은 모두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주요한 기능입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려고 한다면, 이 기능들이 충실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기능과 한계를 잘 이해하여 활용도를 높이도록 합니다. 홈 리코딩 컨버터의 역할 '보다 좋은 음질을 컴퓨터에 저장'하기 위함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 2024. 3. 7. 이전 1 ··· 4 5 6 7 8 다음